2025년에는 영어회화를 공부해 보자
현재 입트영으로 영어 회화 공부를 해 온 지 4년째인 것 같습니다. 혼자서 회화 공부를 하다가 재미도 없고 안 하게 되어, 회화를 함께 공부할 스터디원을 구해 함께 하고 있습니다. 부담 없이 꾸준히 할 수 있는 영어회화 공부법 알려드리겠습니다.
영어회화 교재 : 입이 트이는 영어 12월호
입이 트이는 영어 교재는 매월 발간되는 월간호입니다. 출근시간 라디오를 청취하며 들으셔도 좋고, 시간이 맞지 않다면, 꼭 라디오를 듣지 않아도 됩니다. 매월 월말에 다음월호가 발간되며, 가격은 11000원입니다. 주 5일 구성으로 매일 한 단원씩 진도가 나가며, 마지막 토요일은 Weekly review 가 있는데, 주중 5일간 배웠던 표현을 복습하는 단원입니다.
회화공부 스케줄 구성 : 주 2일 스터디
매일 공부를 하면 좋겠지만, 저는 일정이 맞지 않아, 주 2일 스터디를 합니다. 하여, 한번 스터디를 할 때 3단원 진도를 나갑니다. 따로 라디오는 듣지 않으며, 당일 아침에 30분 정도 예습을 해 놓습니다.
- 월 (1시간 30분) : 1,2,3단원
- 목(1시간 30분) : 4,5,6단원
교재 구성 및 스터디 진행방법
1. 본문 지문 읽기
본문이 짧게 등장합니다. 아래에 생소한 표현을 한 번씩 읽으며, 소리 내어 읽습니다. 회화 연습이므로, 발음 및 유창성 연습을 위해 반복해서 3번 정도 소리 내어 읽어봅니다.
2. 예제문제 : Study group questions
지문을 다 읽었다면, 왼쪽 예제 문제를 살펴봅니다. 본문과 관련되지만, 생각의 폭을 넓혀 볼만한 예제가 있습니다. 예습할 땐 미리 읽어보고, 뭐라고 답할지 생각만 해놓습니다. 이때 영어 문장을 미리 적어 두지 않습니다. 말 그대로 회화 연습이므로, 내용을 떠올릴만한 단어만 간략하게 한글 또는 영어로 써놓고, 스터디할 때 영어로 작문하여 말하기 위함입니다. 회화스터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하고 싶은 말을 계속 영어로 바꾸어 말해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.
3. Pattern practice
다음장엔 영어 패턴을 연습할 수 있는 부분이 나옵니다. 숙지해야 할 표현과 예제가 나옵니다. 이때도 예습할 땐 읽어만 보고, 문장을 다 적지 않고 어떤 말을 해야겠다고 생각만 하거나, 생각을 떠올리게 할 만한 간단한 단어만 적어 놓습니다.
이 부분에서는 패턴을 넣어서, 나만의 문장을 만들어 스터디원과 한 번씩 말해 봅니다. 내 경험이나, 나의 일상에 대입해 보면 표현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4. Dialogue practice
응용 표현을 넣어 두 사람 간의 대화가 적혀 있습니다. 스터디원이 2명이라면, 한 명씩 맡아 읽어보며 회화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스터디원이 많다면 두 명씩 짝지어 차례로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.
5. Composition practice
마지막 연습은 한글을 보고, 왼쪽 영어표현을 넣어 완전한 영어문장을 만들어 보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. 아래에 정답이 적혀 있는데, 먼저 보고 연습하지 말고, 예습할 때 보지 않고 영어문장을 만들어 본다음 정답을 보고 수정을 합니다. 스터디할 땐 포스트잇으로 정답을 가리고, 스터디원과 번갈아 가며 영어문장을 만들어 말해 봅니다.
영어회화 실력을 기르는 최고의 방법은 꾸준함
영어회화 실력을 기르는 최고의 방법은 한국어를 영어로 계속 바꾸어 말해보는 연습인 것 같습니다. 처음엔 잘 생각이 안 나고 시간을 끌겠지만, 연습이 거듭될수록 차츰 영어로 바꾸어 말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줄어들어 생각하면서 바로 영어로 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. 더불어 정확한 영어 표현을 동시에 익히고 연습해 보아야 합니다. 마지막으로는 꾸준함이 필요합니다. 한 나라의 언어를 말하기 위해서는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 재미를 가지고 꾸준히만 실천한다면, 어느새인가 늘어있는 회화실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.
'교육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용고시 공부법 (책 한권 통째로 외우는 기술) (1) | 2024.06.02 |
---|---|
2023 중등 임용고시 티오, 보건전공 서울 경기지역 (0) | 2022.08.15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한달 공부 후 합격 (0) | 2022.07.12 |
실행력이 목표 달성의 치트키 (1) | 2022.07.12 |
임용고시 전공 답지 쓸때 주의점 (7) | 2022.07.08 |